알고리즘

[백준] X와 K 파이썬 풀이

최슬슬 2023. 1. 15. 17:43

※ 사용언어 : 파이썬 ※

 

▼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322

 

1322번: X와 K

첫째 줄에 X와 K가 주어진다. X와 K는 2,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문제 접근

◇ X와 K의 범위가 20억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로 상당히 범위가 큽니다. 해당 수의 범위를 생각하면 시간 복잡도에 N이 들어가면 2초 안에 문제를 풀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상수 시간 내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 int형의 표현 범위는 대략적으로 21억 정도입니다. 즉 X와 K는 int형 범위 내의 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int형은 4byte=32bit이므로, X와 K는 32bit를 넘지 않는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X와  K를 합쳐도 64bit 안에서 연산이 이루어질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최대 bit 범위를 64로 잡으면 된다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 X+Y = X | Y라는 식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X를 2진수로 바꿨을 때, 0의 위치를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X = 5인 경우,

해당 표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가장 첫 번째로 등장하는 0의 자리는 10진수 2 자리입니다. Y = 2라고 가정해 봅시다.

X + Y = 5 + 2 = 7이고 X | Y = 111(2) = 7 이 됩니다. 두 연산 모두 결괏값이 7이므로, X + Y와 X | Y의 값이 같습니다. 해당 연산이 도출되는 건 너무나도 당연한 일입니다.  두 개의 수를 or 연산을 하게 될 때, 각 자릿수에 한 bit라도 1이면 해당 자릿수의 bit는 1이 됩니다. 위에 예시처럼, X의 입장에서는 10진수 2의 자리는 0이지만, Y의 10진수 2의 자리는 1입니다. or 연산을 하게 되면 결괏값은 X +2가 되게 됩니다. 이때 2는 Y의 값이고 X + Y = X | Y가 성립하게 됩니다.

 

◇ X를 2진수로 바꾸었을 때, 0이 있던 자리를 1로 바꾸게 되면 조건에 만족하는 Y값입니다.

여기서 한 가지 사실을 도출해 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등장한 0이 있는 자리에 1을 넣은 수가 식을 만족하는 첫번째 수가 된다는 겁니다. 

위에 서술한 예시를 봅시다. Y = 2 일 때 처음으로 식을 만족하는 수가 등장하게 됩니다. 그럼 다음 수는 2 다음 0의 자리를 가지는 8이 됩니다.

 

 

◇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X와 K의 범위가 크기 때문에 상수시간 안에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이때, 연산된 값의 범위는 64bit를 넘지 않기 때문에, O(64) 시간 복잡도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O(64) 시간 안에 X의 2진수 중 0이 있는 자릿수를 찾습니다.

 

 

 


 

문제 풀이 (With Python)

import sys

X, K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bin_x = format(X, "b")
x_64 = bin_x[::-1]
x_length = len(bin_x)

for a in range(64 - x_length + 1):
    x_64 += "0"

pos = []
for b in range(65):
    if x_64[b] == "0":
        pos.append(b)

bin_k = format(K, "b")
k_64 = bin_k[::-1]
k_length = len(bin_k)
for a in range(64 - k_length + 1):
    k_64 += "0"

result = [0 for _ in range(65)]
for idx in range(65):
    if k_64[idx] == "1":
        result[pos[idx]] = 1

convert = ''.join(map(str, result))
answer = int(convert[::-1], 2)
print(answer)

 X를 2진수로 변환합니다. 이때 2진수로 변환된 bin_x는 문자열이기 때문에 [::-1]을 이용해 bin_x를 역순으로 뒤집습니다. 문자열을 뒤집는 이유는 사람이 편하게 보기 위해서입니다. 일반적으로 한국인이라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습니다. 즉 100이라는 2진수가 있다고 하면 1이 있는 자릿수가 가장 큰 자릿수이지만, 컴퓨터의 index의 기준에서 보면 1은 가장 작은 index값인 0을 가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헷갈리는 걸 방지하기 위해 뒤집어주었습니다.

이후 bin_x를 64bit로 만들기 위해 남은 칸은 전부 0으로 채워주었습니다.

 

◇  64bit로 맞춰준 2진수 X를 순회하며 0이 위치한 자리를 찾아 pos 리스트에 넣어줍니다.

 

◇ K도 X에서 했던 작업과 똑같이 해줍니다.

 

result 값을 구하는 곳을 설명하기 위해 예제 3번을 예시로 들겠습니다. 예시 3번을 가지고 위에 코드를 실행하면 결괏값은 해당 이미지처럼 나오게 됩니다.

해당 값을 가지고 for문을 탐색합니다.

idx = 0일 때,

k_64 [0] = 1 이므로, result[pos [idx]] = 1이 되게 됩니다. 여기서 pos[idx] = pos [0] = 0 이므로 result [pos [idx]] = rseult [0] 이 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result [0] = 1로 바꾸고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idx = 1 일 때,

k_64 [1] = 1 이므로,  result[pos[idx]] = 1이 되게 됩니다. 여기서 pos [idx] = pos [1] = 2 이므로 result [pos [idx]] = rseult [2] 이 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result [2] = 1로 바꾸고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idx = 2 일 때, 

k_64 [1] = 0 이므로,if 조건문을 만족하지 않아 넘어가게 됩니다. idx = 3 또한 if 조건문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넘어가게 됩니다. 

idx = 4부터는 k_bin을 64bit로 맞춰주기 위해 0으로 채워져 있고, if 조건문을 더는 만족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해당 for문을 순회하고 난 뒤 result는 0번째 자리와 2번째 자리만 1인 상태가 되게 됩니다. 즉 아래 그림과 같은 상태가 되게 됩니다.

2진수인 result값을 10진수로 바꾸게 되면 5가 되게 되고 실제로 예시 출력 값 또한 5입니다.

 

마지막으로 result값을 10진수로 바꿀 수 있게 문자열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뒤집어서 계산했기 때문에 다시 뒤집어서 원래 상태로 바꿔줍니다. 원래상태로 돌아온 2 진수값을 10진수로 바꾸면 원하는 결괏값을 얻게 됩니다.